서비스를 만들때 진입장벽을 생각하면서 해야겠습니다. 내가 만든 비즈니스에 새로운 것을 추가하여 해서 나의 비즈니스를 이기면 억울하지 않겠습니까?
(사진 : http://bit.ly/1QYUqGe Nik Stanbridge, CCL)
진입 장벽의 종류를 예로 들어 하나씩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외우기 쉽게 ABCD)
첫 째, 절대 비용의 불리함(Absolute Cost Disadvantage)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규모의 경제(마지막에 설명)를 제외한 요소 중에서 기존 업체에 비해 비용상 열위에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타기업의 기술력이 너무 뛰어나다든가, 타기업이 기존 Product나 서비스의 Channel을 장악하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절대적 비용의 불리함이 클 수록 진입 장벽을 높아지는 것입니다. (타 채널과의 협력 봉쇄)
둘 째, 브랜드 충성도(Brand Loyalty)가 있습니다. 기존 시장에서 기존 업체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가 높을 경우에는, 새로운 기업이 진입하더라도 그 소비자를 뺏어올 확률이 낮습니다. 보고 만져도 quality에 대한 파악이 힘들고 실제로 사용해봐도 quality 판단이 힘든 산업이 바로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산업입니다. 제약, 병원, 교육 등이 그러한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산업의 예가 됩니다. 그렇다면 Brand Reputation은 어떻게 하면 쌓을 수 있을까요? 흔히 말하는 2가지 방법은 마케팅과 R&D에 대한 투자입니다.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의 인지를 바꿔놓든지, 혹은 R&D를 통해 제품의 질을 높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시장에 진입할 때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기존 업체만큼 reputation을 쌓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셋 째, 초기 투자 비용(Commencing Costs, Starting Costs)이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을 새로 창업하거나 혹은 새로운 산업으로 진출하려고 할 때는 분명 초기 투자 비용이 듭니다. 이러한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일 수록(ex. 자동차 제조업, 조선업 등)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넷 째, 가장 중요한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Dam)가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는 추가 한 단위를 더 생산할 경우 평균적인 비용이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을 돌릴 때 대량으로 생산을 하게 되면 평균적인 단가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늘 진입장벽을 기억하세요.